미국

가뭄에 시달리는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메아리 2021. 7. 15. 07:06

캘리포니아에 가뭄이 심각하다.

가뭄은 물 부족 사태를 몰고 오고

물 부족은 주민을 고난으로 끌고 간다.

 

앞마당 잔디밭에 스프링클러를 틀었다.

잔디밭에 물은 일주일에 세 번만 주라는 주정부의 주문이 있었지만

나는 조금씩이나마 매일 준다.

지나다니는 사람들 눈치가 보여서

스프링클러를 틀어놓고 서서 기다린다.

꺼야 할 시간을 놓칠까 봐 겁이 나서.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라 올해 들어서 쭉 그래왔다.

5분간 틀어놓아야 할 것을 1분 만에 그친다.

잔디더러 목이나 축이라는 거다.

잔디는 목이 마르다는데

물을 주지 못하는 심정은 안타깝다 못해 피를 말린다.

 

물 쓰듯 흔해야 할 물이, 피 흘리듯 귀하게 보인다.

흔할 때 귀히 썼다면 습관에 젖어서 귀할 때 가슴 쓰리지 않았을 것을.

 

미국 서부에 기록적인 가뭄이 이어져 저수지가 바닥을 드러내며 '물 비상령'이 내려졌다.

캘리포니아주에선 주지사가 직접 나서 주민들을 상대로 '물 아껴쓰기'를 호소하는 실정이다.

자발적으로 물 사용량을 15% 줄여달라"고 촉구했다.

샤워 시간을 줄이고, 식기세척기는 꽉 찼을 때만 돌리고, 잔디에 물 주는 빈도를

줄여달라고 부탁했다.

앵커는 뉴섬 주지사가 당부한 물 절약이 의무 사항은 아니지만, 가뭄이 여름과 가을 내내

더 악화되면서 어려움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서부 지역의 폭염이 아직 캘리포니아 연안에 이르지는 않았지만 조만간 이 지역도

폭염에 휩싸일 것이라고 한다.

물 부족 사태와 폭염이 겹치면 그 다음에 닥쳐올 고난은 불을 보듯 뻔하다.

산불로 이어질 것이고 집이 타버린 난민들이 쏟아져 나올 것이다.

 

오늘 날 다가오고 있는 물 부족은 예전에 비하면 아직 멀었다.

십여 년 전에 4년 연속 비가 오지 않는 바람에 호수가 다 마르고 물 부족으로 고초를 겪었던 선례가 있다.

하다못해 음식점에서 컵에 물 따라주는 것도 금지 했었다.

풍요로운 세상에서 부족하다고 엄살을 피우는 것이지 실제로는 쓸 물은 다 써가며 산다.

세숫대야에 물 떠 놓고 세수하고 발 씻고 걸레 빨고 그 물을 화단에 주던 생활을 겪으며

자란 나에게 샤워 좀 걸렀다고 해서 대단한 것은 아닌 것과 같다.

차고 넘치다 못해 낭비하면서 사는 세상에서 15% 절약해 달라는 것은 정상적으로

살아달라는 소리처럼 들리는 게 나만의 생각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