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치료 가능 ‘바이애그라’
최근 네이처에이징(Nature Aging)에는 바이애그라의 ‘실데나필’ 성분이 치매 치료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소개됐다. 연구진이 700만명 분의 처방전 보험금 청구를
분석한 결과 실데나필을 복용하는 사람들에게서 알츠하이머 발병 위험이 6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기존에 유통되고 있는 약물의 용도를 바꿔 사용하는 것은 전혀 새로운 신약 개발보다
비용이나 시간에서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치매 즉, 알츠하이머는 뇌 속에서 타우(Tau) 단백질과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판이
섬유질 엉킴(Fibrous tangles)이라는 현상을 일으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유전자와 환경적 요인의 복잡한 상호작용도 알츠하이머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까지 두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약물과 백신 임상에서는 좋은 결과를 나타낸 경우가
거의 없다.
연구를 진행한 오하이오 클리블랜드 연구팀은 베타 아밀로이드와 타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의 단백질 사이에서 어떠한 상호작용이 일어나는지 초점을 맞춰
연구했다.
이어 1600개 이상의 승인된 약물들이 알츠하이머 관련 네트워크와 얼마나 밀접한 상호작용을
하는지에 따라 ‘네트워크 근접성 측정(Network proximity measures)’을 생성해 관찰했다.
그 결과 알츠하이머 치료에 잠재적 능력을 보여주는 66개의 약으로 압축했고
바이애그라 실데나필이 가장 효과적인 것을 밝혀냈다. 또한 미국내 바이애그라를
처방받은 723만명을 추적 조사한 결과 이후 6년 동안 알츠하이머에 걸릴 위험이 69%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연구원들은 알츠하이머 환자에게서 나온 신경 세포에 약을 실험한 결과 실데나필이
새로운 신경 돌출의 성장을 촉진하고 세포 내 타우 축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 결과는 실데나필이 알츠하이머의 진행을 늦추거나
예방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증명해낸 결과가 아니고 남성 복용자에게서
알츠하이머 발병률이 낮다는 점을 찾아낸 결과일 뿐이라는 것이다.
그러면 치매 치료제는 없는가?
현재 시중에 치매 치료제로 ‘아두카누맙’이라는 약이 있다.
18년만에 FDA가 승인한 아두카누맙(상품명 Aduhelm)이다. 치매 치료제로 알려졌지만
승인 첫 날부터 논란에 휩싸였다. 무척 고가여서다.
1년 비용이 5만6000달러(6천700만원)다. 또한 임상지표가 획기적이지는 않다는 평가다.
완치되는 것은 아니지만 인지기능 저하 속도를 늦추는 효과는 인정받았다.
제약사들은 아밀로이드 제거를 목표로 치매 치료제를 개발해왔다.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뇌에서는 비정상적인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축적이 보고되는데
이런 단백질 덩어리(플라크)가 신경 독을 생성, 뇌 인지기능을 서서히 악화시킨다는 것이
학계 정설이다.
항체 치료제 아두카누맙은 아밀로이드 베타에 직접 작용하는 기전을 가졌다.
플라크에 결합해 이를 제거한다.
임상 3상에서 이 약은 고용량일때 긍정적인 효과를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치매를 치료하는 완치의 개념은 아니지만 적어도 인지 능력의 악화 속도를 늦춘다는 데
효과를 증명한 셈이다.
치매 환자는 진단 후 평균 10년을 생존기간으로 보고 있다.
증상 악화 속도를 늦추는 것만으로도 환자 및 보호자의 삶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